|
 |
|
 |
|
 |
고지혈증의 원인 |
|
음식물 : 콜레스테롤, 포화지방, 고량의 칼로리가 포함된 음식의 다량 섭취 |
|
유전적 요인 :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 |
|
나이와 성별 :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하고 호르몬의 영향으로 폐경 후에는 남자들보다 콜레스테롤치가 더 높다. 남자 : 20-50세 까지는 증가, 그 이후부터는 약간 감소. 여자 : 20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지만 남자보다는 낮은 수치로 폐경 전까지 유지. |
|
임신과, 피임약은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증가시킴. |
|
비만 : 비만인 사람은 콜레스테롤치가 더 높음. |
|
운동부족 : 운동부족은 결과적으로 비만을 초래하여 콜레스테롤의 양을 증가시킴. |
|
흡연 : 흡연은 총 콜레스테롤을 증가 시킴. |
|
스트레스 :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, 스트레스, 긴장 등이 혈중으로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분비하도록 만들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킴 | | | | |
|
 |
|
 |
 |
|
 |
|
 |
치료 원칙 |
|
고지혈증의 치료는 환자의 식생활 습관이나 고지혈증의 가족력, 동맥경화증 유무, 나이, 다른 동반질환(위험요인) 등을 고려하여 시행하게 됩니다. |
|
혈액 중 콜레스테롤을 적어도 240mg/㎗ 이하로 떨어뜨리며, 가능한 한 200mg/㎗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목표치에 도달하면 첫해에는 4회, 그 후는 1년에 1회 정도 혈중 콜레스테롤의 추적검사를 실시합니다. |
|
치료목적은 결국 동맥경화를 예방하여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는데 있습니다. |
|
식이요법, 운동, 체중조절 또는 혈중지질을 올릴 수 있는 다른 동반 요인들의 교정을 먼저 시행합니다. |
|
일반적으로 약물 요법은 3개월 정도의 식이요법 후에도 고지혈증이 계속될 때 시행하게 됩니다. | | | | |
|
 |
|
 | |
|